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반응형

회사의 감사인 재지정 요청 범위가 확대됩니다.

-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

금융위 의결

 

          금융위원회 등록일 2019-10-02

 

[참고]

20개 회계법인이

상장회사 감사인으로 등록되었습니다.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10/20-1.html

 

2019년 금융위원회 업무계획

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 말씀 자료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3/2019_84.html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19년 10월 1일 미국 증시는
2019년 9월의 PMI(구매자관리지수)가 47.8을 기록했는데
이는 8월의 49.1보다 낮고, 전망치 50.2를 크게 밑돌면서
큰 폭의 하락으로 마감을 했는데요.

2019년 10월 2일 미국 증시는
미국-EU間 관세전쟁 발발(勃發)이 예상되면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언론들이 전하고 있는데요.


WTO(세계무역기구)가 EU의 항공기 보조금 지급과
관련된 EU-미국과의 분쟁에서 미국을 지지하면서
미국은 EU産 항공기와 농산물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으로,

미국은 중국과 관세전쟁을 치르고 있으면서
미국은 또 다시 EU와 관세전쟁을 하겠다는 것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세계 경제를 그리고 경제 심리를
위축시키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부러운 것은, 미국은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상대를 가리지 않고 힘를 과시(誇示)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참고]
2019년 10월 1일 세계주요국증시현황과
시장지표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10/blog-post_2.html


2019년 10월 2일 세계주요국증시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주요국 물가하락기의 특징

 

    한국은행 등록일 2019-09-30

 

□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의 물가하락기를 발생원인과

자산가격 조정여부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

 

 

1. 주요국 물가하락 발생시기

 

□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소비자물가지수의 하락은

분석대상 기간(1990.1/4분기~2019.2/4분기) 중

356회(전체 분석대상 분기의 7.4%**) 발생

 

* OECD 36개국 및 홍콩, 싱가포르, 태국,

대만, 베트남 등 물가하락 경험이 있는

일부 아시아 국가를 포함(총 41개국)

 

** 1998년 이후 기준 9.8%, 2008년 이후 기준 13.6%

 

ㅇ물가하락 발생시

대체로 빠른 시일내에 상승으로 전환

(하락 지속기간의 중간값 2분기)되었으며

하락폭도 비교적 제한적(하락폭의 중간값 -0.5%)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