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반응형

PMI(구매관리지수)가 2009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큰 폭으로 하락하고,

미-중 무역전쟁에 이어

미-EU 관세전쟁 발발로 큰 폭으로 하락하고,

미국의 서비스업이 3년來 최악이여서 하락하는데,

Fed가 또 다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해서

상승하고,

 

금융시장은 "살아있는 생물(生物)"과 같기에

상승과 하락 혹은 폭락과 폭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재료(이유)가 없이 큰 폭의 하락이 연속되면

불안해서 투자를 할 수가 없지요.

 

[참고]

美 증시 2019년 첫번째 surge(폭등)으로

미국 증시도 투기판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1/2019-surge.html

 

비이성적(Irrational) 매매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6/02/irrational.html

 

특히, 상승이나 폭등 보다는 하락이나 폭락(暴落)이

연속되면 투자가 더 무서워 보이고요.

 

비록, 여려차례 비이성적, 비정상적 투자시장에 대한

학습효과를 했다고 해도

비이성적 매매, 비정상의 정상화 시장을

또 다시 경험할 것 같아 투자시장이 무섭지요.

 

 

[참고]

2019년 10월 2일 세계주요국증시현황과

시장지표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10/eu.html

 

 

2019년 10월 3일 세계주요국증시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