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국 물가하락기의 특징
한국은행 등록일 2019-09-30
□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의 물가하락기를 발생원인과
자산가격 조정여부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
1. 주요국 물가하락 발생시기
□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소비자물가지수의 하락은
분석대상 기간(1990.1/4분기~2019.2/4분기) 중
356회(전체 분석대상 분기의 7.4%**) 발생
* OECD 36개국 및 홍콩, 싱가포르, 태국,
대만, 베트남 등 물가하락 경험이 있는
일부 아시아 국가를 포함(총 41개국)
** 1998년 이후 기준 9.8%, 2008년 이후 기준 13.6%
ㅇ물가하락 발생시
대체로 빠른 시일내에 상승으로 전환
(하락 지속기간의 중간값 2분기)되었으며
하락폭도 비교적 제한적(하락폭의 중간값 -0.5%)
반응형
'경제(금융)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9월말 외환보유액 (0) | 2019.10.04 |
---|---|
회사의 감사인 재지정 요청 범위가 확대됩니다. (0) | 2019.10.04 |
2019년 9월 금(GOLD)시장 동향 (0) | 2019.10.01 |
2019년 8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0) | 2019.10.01 |
서민안심전환대출(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신청결과 및 향후 계획 (0) | 2019.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