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반응형

주요국 물가하락기의 특징

 

    한국은행 등록일 2019-09-30

 

□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의 물가하락기를 발생원인과

자산가격 조정여부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

 

 

1. 주요국 물가하락 발생시기

 

□ 1990년대 이후 주요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소비자물가지수의 하락은

분석대상 기간(1990.1/4분기~2019.2/4분기) 중

356회(전체 분석대상 분기의 7.4%**) 발생

 

* OECD 36개국 및 홍콩, 싱가포르, 태국,

대만, 베트남 등 물가하락 경험이 있는

일부 아시아 국가를 포함(총 41개국)

 

** 1998년 이후 기준 9.8%, 2008년 이후 기준 13.6%

 

ㅇ물가하락 발생시

대체로 빠른 시일내에 상승으로 전환

(하락 지속기간의 중간값 2분기)되었으며

하락폭도 비교적 제한적(하락폭의 중간값 -0.5%)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