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반응형

제9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개최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9-09-20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019년 9월 20일(금) 7:40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

개최하여 다음 안건에 대해 논의하였음

 

①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과 대응방향

② 혁신성장 성과점검 및 추진체계 보완방안

③ 경제활력제고를 위한 주요입법 추진 및

행정부 대응조치 계획

 

※ [ 붙임 ] 기획재정부 1차관 모두 발언

 

[참고]

제8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제5차 물가관계차관회의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9/2019-5-8.html

 

 

【 인사말씀 및 최근 동향 관련 】

 

□ 제9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시작하겠습니다.

 

□ 지난 추석 연휴 이후

대외적으로는 사우디의 핵심 석유시설이 피격되고,

국내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였습니다.

 

ㅇ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즉각 사안별 리스크 점검과

초등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 저도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하여

사우디 석유시설 피격 관련 리스크를

점검한 바 있습니다.

 

ㅇ 세계 석유수급 상황 및 국제유가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유사시 수급안정을 위한

비축유 방출 등 대비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경우

무엇보다도 초기 방역 대응에역량을 집중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

 

ㅇ 산업부, 농식품부 등 관계부처에서는

향후 대응에 만전을 기해주실 것을 당부드리며,

 

- 다른 부처도 이 사안들을

우리 정부 공동의 문제로 여겨주시고,

적극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기재부부터 솔선수범하겠습니다.

 

【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과 대응방향 】

 

□ 오늘 첫 번째 안건으로는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과 대응방향”을 논의합니다.

 

□ 지금 우리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ㅇ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미만(0.98)인 초저출산 국가이며,

 

-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7년만인 2025년에는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됩니다.

 

ㅇ 이에 정부는 지난 4월 범부처 인구정책TF를 구성하여,

①생산연령인구 확충,

②인구감소 충격 완화

③고령화 심화 대응,

④복지지출 증가 대응이라는

4대 핵심전략을 설정하고,

20대 정책과제를 마련하였습니다.

 

□ 그 결과 지난 수요일 경제활력대책회의(9.18)에서

첫 번째 전략인 “생산연령인구 확충방안”을 발표하였고,

 

ㅇ 앞으로 나머지 전략도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입니다.

 

【 혁신성장 성과점검 및 추진체계 보완방안 】

 

□ 두 번째 안건은 “혁신성장 성과점검 및

추진체계 보완방안”입니다.

 

□ 정부가 혁신성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제를 추진중이나,

범부처 협업 및 정책 간 상호 연계 미흡 등으로

혁신성장을 붐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ㅇ 앞으로 ①부처 간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②현장소통을 더욱 활성화하는 한편,

③혁신성장 토론회 등 이벤트도

적극 활용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ㅇ 아울러, 그간 각 부처가 추진해 온

혁신성장 관련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성과점검・분석을 통해

“혁신성장 보완・확산 전략”을 마련하여

 

- 10월 중 혁신성장관계장관회의에 보고하고,

2020년 경제정책방향에도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주요입법 추진 및

행정부 대응조치 계획 】

 

□ 세 번째 안건은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주요 입법 추진 및 행정부 대응조치 계획”으로,

 

ㅇ 지난 9.4일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논의된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주요법안 추진전략”을

보완한 내용입니다.

 

□ 우리경제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투자활성화,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 규제개혁 등

주요 정책과제들을 뒷받침 할 입법이

신속하게 완료되어야 합니다.

 

ㅇ 입법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지만,

정부는 이들핵심법안에 대한

국회설득 노력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ㅇ 하위법령 개정과 적극적인 유권해석,

지침 명확화,실무 추진체계 정비 등

행정부 차원에서 가용한 모든조치들을 강구하여

경제활력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마무리 말씀 】

 

□ 다음 주 9월 23일이낮과 밤의 길이가

다시 같아지는 추분(秋分)입니다.

 

ㅇ 2019년도 어느덧 3분기가 마무리되고

4분기만이 남았습니다.

 

□ 수확기를 놓치면 제대로 된 결실을 얻을 수 없듯이

 

ㅇ 올해 추진하기로 했던 정책들은

꼭 연내에 마무리하여 현장에서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ㅇ 재정도 역대 최고 수준의

집행률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각 부처에서 세심히 챙겨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ㅇ 다음 회의에서는

그 동안 경제정책방향에서 발표된

주요 과제의 추진실적도 꼼꼼히 점검해 보겠습니다.

 

□ 그럼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19년 9월,

OECD 세계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

- OECD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9-09-19

 

 

[참고]

2019년 5월 OECD 경제전망

(2019년 5월 OECD Economic Outlook)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5/2019-5-oecd-oecd-economic-outlook.html

 

◇ OECD는 2019년 9월 19일(목)

프랑스시간 11:00(한국시간 18:00)에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을

발표하였습니다.

 

* OECD는 매년 2회(5월경, 11월경)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며,

매년 2회(3월경, 9월경) 주요국(G20국가, 한국 포함) 대상

「중간 경제전망」 발표

 

 

※ 이 자료는 국제엠바고(한국시간 9.19일 18:00) 하에

배포하는자료이므로,

보도시간을 준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요약・정리한 자료이므로

상세 내용은 OECD Economic Outlook(www.oecd.org)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19년 상반기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

 

한국은행 등록일 2019-09-20

 

 

[참고]

2018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3/2018_24.html

 

2015년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6/05/2015.html

 

 

□ 2019년 상반기중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유형별로는

특허 및 실용신안권(-13.4억달러),

기관형태별로는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19.2억달러),

산업별로는

전기전자제품 제조업(-5.5억달러),

거래상대방

국가별로는 미국(-22.3억달러) 등을 중심으로

8.8억달러 적자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