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3.3% 상승(10월 3.8%)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3-12-05
[참고]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 2023년 8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3.4% 상승(전월비 1.0%)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3/09/2023-8-2023-8-34-10.html
1. 주요 내용
1) (소비자물가)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3.3% 상승(10월 3.8%)
2) (근원물가*)
전년동월비 3.0% 상승(10월 3.2%)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로서,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분을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458개 품목 중
식료품,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3) (생활물가)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으로
전년동월비 4.0% 상승(10월 4.6%)
* 전체 품목 중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에 민감한 144개 품목으로 작성
4) (신선식품)
전월대비 큰 폭 하락(△7.5%)했으나,
기저효과(‘22.11월 전월비△8.0%)로 인해
전년동월비 12.7% 상승(10월 12.1%)
2. 평가 및 대응
□ (평가) 2023년 11월 물가는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전월보다 큰 폭 하락하고
수입차 등 내구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3.3% 상승
□ (대응)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중심으로
가격·수급동향을면밀히 점검하고
주요 불안품목에 대한 물가안정 노력 지속
'경제(금융)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1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0) | 2023.12.12 |
---|---|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주요 내용과 시사점 (0) | 2023.12.10 |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개최 - 추경호 부총리 모두 발언 - (0) | 2023.12.08 |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개최 - 동절기 에너지 효율화 지원 및절약 캠페인 확대 방안 - (0) | 2023.12.08 |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개최 - “先 교통 後 입주”실현을 위한신도시 광역교통망 신속 구축방안 - (0)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