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0일 목요일 통화정책방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5-07-10
[참고]
2025년 7월 10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참고자료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게 된 배경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7/2025-7-10.html
2025년 5월 29일 목요일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0.25% 하향하여
2.50%로 조정하게 된 배경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5/2025-5-29-025-250_29.html
□ 2025년 7월 10일 목요일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2.50%)에서 유지하여 통
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음
■ 2025년 7월 10일 통화정책방향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 수준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국내경제는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당분간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무역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하지만 수도권 주택가격 오름세 및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되었고
최근 강화된 가계부채 대책의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세계경제를 보면,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높은 관세율의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되고 물가경로는
국가별로 차별화될 전망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중동지역 긴장 완화,
미·중 무역협상의 일부 진전 등으로
위험회피심리가 약화되면서
주요국 주가가 큰 폭 상승하였다.
미 장기 국채금리는 연준의
금리인하 재개 기대 등으로 소폭 하락하고
미 달러화는 약세 흐름을 지속하였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협상 결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건설투자의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소비가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 등으로 개선되고
수출 증가세도 이어지면서
성장 부진이 다소 완화되었다.
고용은 전체 취업자수 증가규모가
확대되었으나 제조업 등 주요 업종에서는
감소세를 이어갔다.
앞으로 소비가 경제심리 개선,
추경 등으로 점차 회복되고
수출은 미 관세부과 등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향후 성장경로는
대미 무역협상의 전개 상황,
내수 개선속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국내 물가는 6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공식품 가격 오름세 지속,
농산물‧석유류 가격 기저효과 등으로
2.2%로 높아졌으나 근원물가 상승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전월과 같은 2.0%를 나타내었고,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4%로
전월(2.6%)보다 낮아졌다.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낮은 수요압력,
국제유가 안정세 등으로 2% 내외의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금년 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각각 1.9%)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물가경로는 국내외 경기 흐름,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주가가 자본시장 제도 개선 기대 등에 따른
투자심리 호전으로 큰 폭 상승하였고
장기 국고채금리는
국채발행 확대 가능성 등으로 높아졌다.
원/달러 환율은 무역협상의 전개양상,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아
1,300원대 중후반에서 상당폭 등락하였으며
앞으로도 높은 변동성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주택시장은 서울 등 수도권이
과열양상을 나타내다가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시행 이후
다소 진정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지방은 부진을 지속하였다.
가계대출은 그간 확대된 주택거래의 영향으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는
물가상승률이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당분간 낮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무역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수도권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리스크가
증대된 만큼 거시건전성정책의 효과를
점검하는 한편,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도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이 과정에서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다.
'경제(금융)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2) | 2025.07.11 |
---|---|
2025년 6월중 금융시장 동향 (1) | 2025.07.11 |
2025년 7월 10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참고자료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게 된 배경 - (0) | 2025.07.10 |
2025년 6월 가계대출 동향 및 「가계부채 점검회의」 개최 (2) | 2025.07.10 |
2025년 1/4분기 자금순환(잠정) (0)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