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5  이전 다음

반응형

2025년 4월 한국은행 경제상황 평가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17

[참고]
2025년 2월 한국은행 경제전망(Indigo Book)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2/2025-2-indigo-book.html

2025년 1월 경제상황 평가(한국은행)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1/2025-1.html


▣ 국내경제는 
경제심리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글로벌 통상여건도 악화되면서 
성장세가 지난 전망경로를 하회할 가능성

■ 무역협상의 전개양상, 
  추경의 규모 및 시점, 
  경제심리의 회복 속도 등과 관련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대

▣ 소비자물가는 높아진 환율 수준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유가 하락, 낮은 수요압력 등으로 
2% 내외의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

■ 향후 물가경로는 국내외 경기 흐름,
  환율·유가 움직임 등에 영향받을 전망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4월 17일 목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5년 4월 16일 수요일 증시현황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4/2025-4-16.html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4월 17일목)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2.75%)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17

[참고]
2025년 4월 17일 목요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참고자료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게 된 배경”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4/2025-4-17.html


2025년 2월 25일(목)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0.25% 인하해서
   2.75%로 조정하게 된 배경”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2/2025-2-25-025-275_25.html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2.75% 수준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1/4분기 경기 부진 및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확대되었다. 

하지만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세계경제는 글로벌 무역갈등 심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되고 
물가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주요국 주가가 큰 폭 하락하였다가 
상호관세 유예 등으로 일부 반등하였다. 

미국 장기 국채금리도 
상당폭 하락하였다가 급등하였고, 
미 달러화는 큰 폭의 약세를 나타내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협상,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제상황을 보면, 
정치 불확실성 지속, 
통상여건 악화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되면서 성장세가 예상보다 
약화되었다. 

고용은 
전체 취업자수 증가규모가 늘어났으나 
제조업 등 주요 업종은 감소세를 
지속하였다.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금년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보이나, 
향후 무역협상의 전개양상, 
추경의 시기 및 규모 등과 관련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 물가는 2025년 3월중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상승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이 
각각 2.1% 및 1.9%를 나타내는 등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과 같은 수준(2.7%)을 유지하였다.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높아진 환율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유가 하락, 낮은 수요압력 등으로
2% 내외의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금년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9%, 1.8%)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물가경로는 국내외 경기 흐름,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었다. 

원/달러 환율이 
미국 관세정책 및 중국의 대응, 
증권투자자금 유출입 등에 영향받으며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가 
반락하였다. 

주가는 경기 및 기업 실적 둔화 우려로 
큰 폭 하락 후 일부 반등하였으며 
장기 국고채금리는 상당폭 낮아졌다. 

주택시장에서는 
서울 지역의 가격 오름세 및 
거래량이 크게 확대되었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둔화되었다. 

가계대출은 낮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으로 
증가규모가 일시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는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되고 
전망경로의 불확실성도 크게 확대된 상황이다.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높은 환율 변동성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금융완화 기조로 인한 가계부채 
재확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및 
환율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4월 17일 목요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참고자료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게 된 배경”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17

[참고]
2025년 2월 25일(목) 
통화정책방향 관련 참고자료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0.25% 인하하여 
  2.75%로 조정하게 된 배경”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2/2025-2-25-025-275.html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4월 16일 수요일

금융시장 지표와

미국증시 시가총액 순위입니다.

 

[자료=tradingview]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3월 고용동향 및 평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5-04-09

[참고]
2025년 2월 고용동향 및 평가 
- 서비스업 증가폭 확대되며
  두자릿수 취업자 증가 지속
  고용률·경활률 2월 기준 역대 최고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3/2025-2_18.html


1. 2025년 3월 고용동향 및 평가
□ 고용률 62.5%(3월 역대 1위), 
경제활동참가율 64.6%(3월 역대 1위), 
실업률 3.1%, 
취업자수 +19.3만명 증가

□ (산업) 서비스업 증가폭 확대, 
제조업·건설업·농림어업 감소

□ (지위·연령)상용직 58.1%(3월 역대 최고), 
3~40대ㆍ고령층 고용률 상승
ㅇ (지위) 상용직 증가폭 확대(+23.4만명), 
            상용직 비중 역대 최고
ㅇ(연령) 30대·40대·고령층 고용률 상승,
           청년층·50대 고용률 하락

2. 평가 및 대응
□ 취업자수는 3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하며 
고용률 3월 기준 역대 최고다만, 
내수회복 지연ㆍ대외리스크 확대 등 
불확실성 상존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4회계연도 국가결산 국무회의 심의.의결
- 국가 순자산 635.4조원으로 
  전년보다 65.6조원 증가
- 국가채무 1,175.2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46.1%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5-04-17

[참고]
2023회계연도 국가결산 국무회의 심의.의결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4/04/2023_14.html

2024회계연도 총세입은 535.9조원, 
총세출은 529.5조원이며 
총세입에서 총세출과 이월액 4.5조원을 차감한 
세계잉여금은 2.0조원이다. 
일반회계 세계잉여금 0.4조원은 
국가재정법 제90조에 따라 
공적자금상환기금 출연, 
채무상환 등에 활용하고, 
특별회계 세계잉여금 1.6조원은 
해당 특별회계의 근거법령에 따라 
특별회계 자체세입 등으로 처리될 
예정이다.

총수입 594.5조원에서 
총지출 638.0조원을 차감한 
통합재정수지는 43.5조원 적자이며,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수지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104.8조원 적자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4.1% 수준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산한 
국가채무는 1,175.2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46.1%이며, 
전년(46.9%)보다 0.8%p 감소하였다. 

재무제표상 국가자산은 3,221.3조원
(전년대비 +211.9조원), 
국가부채는 2,585.8조원
(전년대비 +146.3조원)으로, 
순자산은 전년보다 65.6조원 증가한 
635.4조원이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2025년 4월 8일(화) 10:00, 국무회의를 개최하여 
심의‧의결 하였으며, 
감사원 결산검사를 거쳐 
5월말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4월 16일 수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5년 4월 15일 화요일 증시현황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4/2025-4-15.html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16

[참고]
2025년 2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25/03/2025-2_30.html


1. 수출물가지수
□ 2025년 3월 수출물가(원화기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0.3% 상승
(전년동월대비 6.3% 상승)

2. 수입물가지수
□ 2025년 3월 수입물가(원화기준)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도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함에 따라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0.4% 하락
(전년동월대비 3.4% 상승)

3. 무역지수
□ 2025년 3월 수출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3.4% 상승

o수출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0.9% 상승

□ 2025년 3월 수입물량지수는 
기계및장비,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5.1% 상승

o수입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8% 상승

4. 교역조건지수
□ 2025년 3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전년동월대비 -3.2%)이 
수출가격**(-2.4%)보다 더 크게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2025년 3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0.8%)와 
수출물량지수(3.4%)가 모두 상승하면서 
전년동월대비 4.3% 상승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
반응형

뉴엔에이아이, 도우인시스, 
삼양컴텍, 싸이닉솔루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4-15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