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수)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주재 - 통상위기에 대응, 과감하고 신속한 지원 추진 - 최상목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 - 수출바우처 1천억원 이상 증액, 긴급경영안정자금 확대 등 관세 피해기업 지원 - 업종별 관세대응·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유턴기업 지원대책 등 지속 마련 - 2조원 규모 특별 정책금융, 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 자동차 산업 긴급 지원 - RG 발급기관 다변화, 특례보증 한도 상향, 금융기관 면책 등 중형조선사 RG 발급 확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5년 4월 9일(수) 08:00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였다.
* (정부) 부총리(주재), 과기부·외교부· 행안부·산업부·고용부·국토부·해수부· 중기부·국조실·금융위·통계청 등 장·차관 (민간) 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장, 산업은행 회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정부는 전례 없는 ‘관세폭풍’을 맞아 비상 상황에 맞는 과감한 지원들을 신속히 추진한다. 이를 위해 통상환경 대응과 산업경쟁력 강화 지원을 포함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안을 곧 발표할 계획이다. 피해기업을 적기에 지원하기 위해 수출바우처를 1천억원 이상 증액하고, 중소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확대한다. 대체시장 발굴을 위한 특례보증과 저금리 지원 프로그램도 신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근본적인 대응을 위해 산업경쟁력 강화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업종별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지속 마련한다. 대체시장 발굴을 위해 특례보증(신보·기보)과 저금리 지원 프로그램(수은)도 신설한다. ‘통상위기 대응 유턴기업 지원대책’을 비롯해 국내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