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5  이전 다음

반응형

2019년 11월 14일(목),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 개최 및 주요 논의결과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9-11-14

 

 

[참고]

2019년 8월 26일,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8/2019-9-26.html

 

[ 회의 개요 ]

 

□ 김용범 제1차관은 2019년 11월 14일(목) 08:00

한국 수출입은행에서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개최하여,

 

* 참석자: 기획재정부 제1차관(주재),

한국은행 부총재,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국제금융센터 원장

 

ㅇ 최근 실물경제․금융시장 여건과

대내외 주요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하였음

 

[ 주요 논의내용 ]

 

□ 참석자들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은

美中 무역협상 진전 등으로 불확실성이 완화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ㅇ 향후 美中 무역갈등 전개 양상 및

홍콩사태 심화 가능성 등과 더불어

 

ㅇ 보호무역주의에 기반한

글로벌 공급망(Global Value Chain) 재편이

국내외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경계감을 늦추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평가하였음

 

□ 최근 시중금리 상승은

美中 무역협상 진전, 노딜 브렉시트 우려 감소 등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에 따른

글로벌 금리 상승세와 연동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평가하면서,

 

ㅇ 국고채 장기물에 대한 보험사의 견조한 수요와

국고채에 대한 외국인·증권·투신사 등의 매입세 지속 등

현재 우리 채권시장의 전반적인 수급상황을 감안 시

 

ㅇ 국채 발행량 증가 등 공급측 요인에 따른

시중금리 영향은 제한적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였음

 

□ 참석자들은 앞으로도 실물경제 여건은 물론

시중금리 등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ㅇ 필요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관계기관이 신속하고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음

 

 

별 첨 :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 모두발언

 

□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 최근 경제 동향 ]

 

□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은 9월 이후

美中 무역갈등 완화, 노딜 브렉시트 우려 감소 등

불확실성이 완화되며 안정세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ㅇ 美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수준을 경신(11.8일)한 가운데,

장기금리가 상승하며

美 국채 장단기금리(10년-3개월물) 역전현상도

10.11일 이후 해소되었습니다.

 

ㅇ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KOSPI가 2100선을 회복함에 따라

시중금리도 상승하였으며

CDS 프리미엄(5년물)은 11.5일 27bp를 기록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경신하였습니다.

 

□ 실물경제는 글로벌 경기둔화와 교역위축 등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투자 측면에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으나

 

ㅇ 고용측면에서는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률 등

3대지표가확연히 개선되며 회복흐름이

더욱 공고화되는 모습입니다.

 

- 10월 취업자 증가는

인구 증가폭(+33.9만)을 크게 상회하며

지난 8월(+45.2만명)에 이어

재차 40만명대를 돌파하였고,

 

- 10월 기준으로 15~64세 고용률은

통계발표 이래 최고,15세 이상 고용률은

1996년 이후 23년만에 최고,

실업률은 2013년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 질적 측면에서도

상용직과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증가하고,

청년고용도 개선되는 등 회복세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ㅇ 아울러 내년에는 세계경제와 교역 성장률이

금년보다 회복되고, 반도체 업황도 개선되면서

우리 실물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세계경제 성장률(IMF, %): (2017년)3.8→

(2018년)3.6→(2019년e)3.0→(2020년e)3.4

* 세계무역 성장률(WTO, %): (2017년)4.6→

(2018년)3.0→(2019년e)1.2→(2020년e)2.7

 

□ 그러나 美中간 1단계 합의서명 및

추가관세의 철폐여부,

브렉시트, 홍콩사태 등단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불확실성 요인들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고

 

ㅇ 이에 따른 세계경제

동반 둔화(synchronized slowdown) 우려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어

경계감을 늦추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이에 관계기관이 함께 모여

최근 금리상승 등 우리 금융·실물경제의 동향과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꼼꼼히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고자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최근 금리상승 관련 평가 ]

 

□ 우리나라 국고채 금리는 8월 중순

역사상 저점(10년물, 8.16일, 1.172%)을 기록한 이후,

최근 글로벌 금리와 연동되며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 다만 최근의 금리 상승은

비단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全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글로벌 요인에 기인하는 바가 큽니다.

 

* 국채 10년물 금리 추이

(2018말→2019.8말→11.11, %):

(美)2.68→1.50→1.94

(獨)0.24→△0.70→△0.26

(韓)1.95→1.28→1.79

 

ㅇ 그간 세계경기 침체 우려와

글로벌 불확실성 장기화 등 전세계적인

안전자산 선호 강화로 인해

과도하게 하락했던 금리는

 

ㅇ 美中 무역협상 진전, 노딜 브렉시트 우려 감소 등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로 정상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 최근 금리상승의 원인으로,

내년도 국채발행량 공급충격을 지적하는

일부 목소리도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전반적인

수급상황을 감안할 경우

공급측 요인은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ㅇ 국회에 제출된 내년도 정부 예산안 기준으로

적자국채 발행총량은 60조원 수준이나,

전년과 비교해서 실제로 늘어나는

적자국채 순증규모는 26조원 수준이며,

 

- 이는 우리나라 국채시장 전체규모를 감안할 때,

과도한 수준이 아닙니다.

 

* 2018년중 국채 115조원 수준 발행, 3,500조원 유통

 

ㅇ 특히 국고채 발행시장에서의

수요여건을 보더라도 고령화 등에 따른

자산-부채 만기구조 매칭을 위한 보험사의

국고채 장기물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고,

 

- 국제적 안전자산으로서

우리나라 국고채에 대한 외국인·증권·투신사 등의

매입세가 지속되는 등 국고채 시장 수요는

충분한 상황입니다.

 

ㅇ 정부도 시장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발행물량을 만기별·시기별로 탄력적으로

운영할 예정인 바,

내년도 물량은 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차질없이 소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국고채는 수요기관 관점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자산으로,

 

ㅇ 그동안 국내 국고채 공급량의 부족으로 인해

해외채권으로 눈길을 돌렸던 연기금·보험사 등의

수요를 국내에서 흡수함으로써

 

ㅇ 전반적인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향후 대응방향 ]

 

□ 향후에도 국내 시중금리는

美中 무역협상, 브렉시트, 홍콩시위 등

글로벌 리스크 요인의 전개 양상과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등에 주로 영향을 받으며

등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정부는 관계기관과 함께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글로벌 리스크 요인의 전개상황을 주시하며

유사시 필요한 시장안정조치 등을

지속 점검하겠습니다.

 

ㅇ 국고채 발행과 관련해서는

시장 수급상황과 금리변동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국고채 조기상환 및 발행물량 등을

탄력적으로 조절해 나가겠습니다.

 

ㅇ 또한, 국고채전문딜러(PD)에 대한

인센티브 조정 등을 통해 국고채 발행시장에서의

수요기반을 더욱 확대하고,

국고채 발행의 예측가능성도 높여 수급변동에 따른

영향도 최소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 실물경제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서도

정부차원의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습니다.

 

ㅇ 금년 남은기간 동안

예산 이불용을 최대한으로 줄여

추경 이상의 효과를 유도하고,

공공․민간․민자 3대 투자분야, 정책금융,

무역금융 등을 차질없이 집행하는 등

경제 활력회복에 총력 대응하겠습니다.

 

ㅇ 데이터 3법, 서비스산업발전법, 근로기준법 등

주요 법안의 국회 통과와 규제샌드박스 등

행정부 차원의 규제혁신,바이오 등

신산업 육성 가속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제고 등

우리경제의 중장기적 성장동력 확충과

체질개선 노력에도 진력해 나갈 것입니다.

 

[ 마무리 말씀 ]

 

□ 중용(中庸)에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되어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ㅇ 오늘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정성스럽게 시험을 준비한 수험생이

끝까지 최선을 다하여 시험에 임하는 마음처럼,

 

ㅇ 정부도 출범 이후 2년 반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고금융시장의 안정과

경제활력 제고, 우리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그럼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goeconomic
|